선발 기준 및 참여 혜택
선발 기준
- 2개 학기 이상 이수한 재학생으로 이수한 전체 평점 평균성적이 2.75점 이상인 자
- 휴학생(복학예정자는 예외) 및 마지막 등록예정자는 신청 불가
참여 혜택
- 최고 수준의 온라인 콘텐츠로수강 수월성 확보(국가대표급 교수진)
- 절대평가로 우수성적 황보 가능, 사업단 보조 인력(RA/TA) 우선 선발
- 마이크로디그리/부전공/융합전공 학위 취득자 중 성적 우수자 장학금 지급
- 글로벌 기업이 찾는 유망 학위취득 (삼성, 현대차, LG, SK 등 글로벌 기업 취우선 육성 분야)
- 에너지신산업 분야 해외 연수 프로그램 선발 및 지원
- 에너지신산업 분야 프로젝트 참여 및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지원
- 에너지신산업 분야 경진대회, 박람회 및 학술대회 참여 지원
에너지신산업융합전공
소속 | 글로벌융합대학 융합학부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|
학위 | 에너지신산업 마이크로디그리(MD), 부전공, 복수전공 |
교육분야 | 배터리, 전기차, 에너지-AI, 태양광·풍력·수소연료전지, 스마트그리드 등 |
교수진 | 전북대, 고려대, 서울대, 한양대, 부산대, 강원대, 경남정보대 국가대표급 세계 최고 권위자 교수진 강의 |
신청자격 | 전북대생 누구나 전공 신청 가능 |
학위취득 | 이수학점에 따라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학위 취득 * 마이크로디그리(MD): 12학점 * 부전공: 21학점 (참여학과 : 인정교과목 9학점 포함 가능) * 복수전공: 42학점 (참여학과 : 인정교과목 12학점 포함 가능) |
학위 취득 가이드 라인
학위 | 필요 학점 | 비고 |
---|---|---|
마이크로디그리(MD) | 12학점 | · 에너지신산업융합전공 개설교과목 중 4과목(12학점) 이수
- 학위 취득 가이드 라인(MD) 참고
|
부전공 | 21학점 | ·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개설 교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단, 사업 참여학과 소속 학생은 21학점 중 최대 9학점 인정 교과목 대체 가능 - 초급, 중급, 고급 중 2개 레벨 이상 이수 |
융합전공 | 36학점 (42학점) |
·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개설 교과목 36학점(42학점) 이상 이수 단, 사업 참여학과 소속 학생은 36학점(42학점) 중 최대 12학점 인정 교과목 대체 가능 - 에너지 생산, 저장/변환, 수송/관리, 경영 트랙 중 2개 이상 - 초급, 중급, 고급 중 3개 레벨 이상 이수 · 2022년 10월 이전 선발자 : 42학점 · 2023년 2월 이후 선발자 : 36학점 |
교육과정
에너지 생산 | 에너지 저장 / 변환 | 에너지 수송 / 관리 | 에너지 경영 | |
---|---|---|---|---|
초급 | · 신에너지공학개론 · 재생에너지공학개론 · 수소연료전지개론 |
· 에너지저장공학개론 · 에너지소재개론 · 전기화학에너지저장이론및실험 |
· 전기에너지개론 | · 에너지와기술의경제학 · 에너지환경기술 · 에너지와기후변화 |
중급 | · 에너지반응공학 · 에너지생산소재공학 · 바이오폐기물에너지공학 |
· 에너지저장소재설계 · 거대에너지저장 · 제로에너지시스템 |
· 차세대전력전자및전기기기 |
· 에너지빅데이터분석 · 에너지기후변화정책 · AI기반에너지안전공학 |
고급 | · 태양에너지공학 · 지열에너지공학 · 풍력에너지공학 · 수소에너지공학 |
· 전기차배터리공학 · 차세대에너지저장변환공학 · 수소생산과연료전지응용 · 열에너지변환공학 |
· 무선에너지전달 |
· 에너지사업타당성 평가 · 에너지신산업이슈연구 |
※ 초급과정: 온라인, 블렌디드 I (온라인비중 70% 이상)
중급과정 : 온라인, 블렌디드 II (온라인비중 30~70%) & III (온라인비중 20~50%)
고급과정 : 오프라인, 블렌디드 III (온라인비중 20~50%)
※ 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학부 인정과목
기계설계공학전공
- ~2023. 10 : 열시스템설계, 플랜트생산공학및실습, 신재생에너지시스템공학, 종합설계
- 2024. 5 ~ : 고체역학 1, 유체역학, 열역학, 제어계측공학, 종합설계
나노바이오기계시스템공학전공
- ~ 2023. 10 : 제어계측공학기초, 열전달, 유한요소해석, 마이크로전기기계시스템
- 2024. 5 : 고체역학, 유체역학, 재료과학개론, 전기전자공학, 종합설계 1
- 2024. 10 ~ : 전기전자공학, 고체역학, 유체역학, 제어계측공학기초, 종합설계
문의사항
에너지신산업 융합전공 사무실(학습도서관 108호)
Tel. 063)219-5295
Email. ie1@jbnu.ac.kr
Homepage. https://ie.jbnu.ac.kr
Tel. 063)219-5295
Email. ie1@jbnu.ac.kr
Homepage. https://ie.jbnu.ac.kr